데이터씽킹, 티키타카! 3차시 - [데이터 사실파악 역량]
※ 데이터 사실파악 역량 구조 ※
1. 드러난 정보(데이터 사실) 파악
2. 숨겨진 정보를 발견 및 추론
3. 드러난 정보와 숨겨진 정보를 조합 → 새로운 사실 파악
우리의 업무 환경은 점점 기존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데이터가 점점 많아질 것
그때마다 눈에 보이는 데이터만 활용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데이터의 숨겨진 의도를 파악해서 방향을 설정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은 데이터 안에서라도 찾아낼 수 있는
사실성의 범위와 폭이 큰 차이가 있음
[ 문제 상황 ]
현재 외교부에서 공적개발원조(ODA)를 담당하는 공무원
이번에 아프리카 지역에 트럭을 지원해 주기로 함
이번에 주안점으로 두고 있는 지역 = 케냐
그러나 케냐에서 어떤 종류의 트럭을 얼마나 원하는지 정보 X
무턱대고 줄 수는 없으니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큰 그림이라도 그려보자라는 생각 중 나이지리아 데이터 발견

Fact1. 시장에서 일반 트럭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
그렇다면 얼마나 필요하게 될까?
Fact2. 시장에서 일반 트럭의 규모가 성장
이 성장세를 그대로 써서는 안 된다.
이 데이터는 케냐가 아닌 나이지리아 시장의 정보이기 때문
분석 목표 명확하게 만들기
일반 트럭 매출이 1188 → 2998로 성장한 힘은 무엇일까?
1. 트럭 시장 전체가 성장한 힘
2. 일반 트럭 시장 자체가 성장한 힘
Q. '나이지리아 일반 트럭 시장의 성장세(2010 > 2020)' 중
1) 트럭 시장 전체 성장힘의 기인 정도(%)와
2) 일반 트럭 시장 자체 성장힘의 기인정도(%)를 각각 계산
이번 문제는 착안한 근거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계산하는 문제 > 착안하고, 계산해서 숫자(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핵심
이번 과제는 이해를 잘못해서 다른 결과를 도출했다.
전체 시장과 일반 트럭 시장에 각각 어떤 요소가
가장 크게 기인했는지를 구하는 줄 알았기 때문이다.(어쩐지 %로 구하는 게 안 되더라^^,,)
아래는 내가 계산한 과정과 결론이다.

전체 시장의 성장을 이끈 힘은 일반 트럭 시장의 성장일 것이다 |
일반 트럭의 판매 차지 비율(242%)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
일반 트럭 시장의 성장을 이끈 힘은 저가 시장에서 일반 시장으로의 변환일 것이다. |
감소한 저가 트럭 시장의 판매 비율이 일반 트럭 시장으로 약 80%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
허헣.. 그런데 힌트가 있는 줄은 몰랐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하나 몇 시간은 고민했는데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라 알고 나니 슬퍼졌다..ㅋㅋ
힌트에 따르면 이 문제는 일반트럭의 성장률에서 전체 성장률과
일반 트럭의 자체 성장률을 분리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한다.
전체 시장 규모는 3552 → 4289로 약 121%의 성장세를 보였다.
따라서 일반 트럭 시장(이하 일트)이 동일하게 성장했다고 한다면
1188*1.21-1188 = 약 250의 성장이 있었을 것이다.
일트의 성장 규모는 2998-1188 = 1810 이므로
1810 중에서 전체 시장의 성장에 기인한 비율은
250/1810 = 0.138로 약 14%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나머지인 86%는 일반 트럭 시장이
자체적으로 성장한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구분하는 방법과 흐름은 이해하겠는데 흠...
왜 힘의 비중을 구해야 하는지는 모르겠다.
이것을 구분한다 하여도 여전히 나이지리아의
정보이기 때문에 케냐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은
해결되지 않은 것이 아닌가? ㅇㅅㅇ...
흐음.... 일단 이러한 문제를 풀어봐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셨는데 그건 납득이 됐다.
앞으로 우리가 일하는 환경은 점차 많은 데이터가
쌓이기 시작할 텐데 크게 분류하자면 가공되지 않은
Raw Data와 가공된 Chart Data가 있을 것이다.
Raw Data의 경우 정보가 너무 많아 어떻게 분석하느냐에 따라 해석의 여지가 커 소통이 어려울 수 있고 업무 중엔Chart Data를 더 많이 접하게 될 것이다(공무원의 경우).
Chart Data는 소통에 적합하도록 잘 정리되어 있으나
Raw Data에 비해 많은 정보가 축약&생략되어 있어
드러나지 않은 정보를 잘 캐치해야 한다.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날수록
의사 결정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테니
이러한 문제를 풀어볼 필요가 있다고 하셨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어 가며 많은
플랫폼 시장이 나타나고 있는데 플랫폼의 성장이
서비스의 성장과는 다른 경향을 보일 수 있으니
더욱 이러한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데이터 씽킹 티키타카 강의를 전부 듣고 난 후에는
내가 직접 이런저런 데이터를 구해서 뜯어봐야지.
조금 어려웠지만 유익한 시간이었다!
'데이터 문해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리터러시_토론 역량 (1) | 2024.03.24 |
---|---|
데이터 리터러시_주장&비판 역량 (1) | 2024.03.23 |
데이터 리터러시_공감역량 (3) | 2024.03.21 |
데이터 리터러시_직관력 (0) | 2024.03.20 |
데이터 씽킹, 티키타카_시작해보자..! (2)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