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공부

[기획 강의_레브 인사이트] 상위기획과 요구사항정의_240728

기획자 에이든 2024. 7. 28. 22:02

맥비방에서 우연히 레브님의 스터디 프로젝트를 알게 되어 참여했다

현재 에이전시에서 근무하고 있긴 하지만 사이드프로젝트에서 기획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큰 고민 없이 신청했음
 
지난주(0721)는 기본적인 개념과 강의 참여 여부를 결정 짓는 주였고 이번주부터 본격적인 시작!
 
우연인지 지금 사프에서 히스토리 관리 때문에 기능정의에 관한 내용이 필요했는데 시기가 적절했다ㅎㅎ
 
토요일에 스토어 스크린샷 기획을 마쳤는데 이걸 하면서 상위기획에 관한 내용도 오랜만에 고민했고..
 
여하튼 덕분에 강의 실습에서 상위기획 문서를 빠르게 써 내려갈 수 있었다
 
그리고 기능정의.. 후.... 작은 프로젝트니 굳이 안 해도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에 바로 화면설계부터 진행한 나 반성해...
 
최근에 느끼는 거지만 프로젝트가 후반으로 갈수록 히스토리 관리가 필요함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정책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해놓은 문서를 만들어 두지 않아 문서를 거꾸로 작성하는 중..ㅋㅋㅋ
 
레브님도 작은 프로젝트라면 스킵할 수는 있다고 하셨긴 했는데 가급적 쓰는 게 맞다고 하심ㅋㅋ
 
회사 들어가기 전까지는 기능정의서가 뭔지도 몰랐고 왜 써야 하는지도 몰랐는데 이렇게 하나씩 몸통박치기로 배워가는 중ㅜㅜ
 
어쨌든 오늘 배운 내용을 풀어보자


 

기획서(기획 과정 중 작성하는 모든 문서)

  • 목적과 공유주체에 대하여 명확해야 한다
  •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
  • 히스토리 관리

[ 상위기획 ]

상위기획 개념

상위기획 : 목적과 방향에 관한 내용(=네비게이션 목적지)
→ 서비스를 기획하는 목적과 목표를 합의하는 과정(= 이거 맞아? 이렇게 간다?)

상위기획이 필요한 경우

  • 탑 다운: 대표, 본부장, 팀장 - 이들의 요구를 구체화할 때
  • 바텀 업: 아이디어, 데이터, 내/외부 관계자 - 해야 할 것을 구체화할 때

1. Why - 왜 이 프로젝트, 서비스를 만드는지
2. What - 해당 기능, 프로젝트, 서비스의 목표
3. When, Who - 누가 언제까지 진행할지
4. How - 대략적인 서비스의 큰 기능은 무엇이 있는지
 
어차피 바뀌므로 너무 많은 품을 들이지 않음, 약 2시간 소요(레브님)

정말 간단한 와이어프레임도 how에 넣어서 공유 - 텍스트 보다 이미지가 훨씬 강력하니까

상위기획 내용

  • Why
    • VOC
    • 시장상황 및 분석
    • 데이터 분석 결과
    • 외부/내부 요구사항
    • 우리 서비스 문제점
  • What
    •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목적
    • 프로젝트 방향성
    • 기능 목표
  • When, Who
    • 스프린트 일정(애자일)
    • 일정(대략적인)
    • 필요 인원
    • 항목별 담당자
  • How
    • 큰 기능
    • 중요 정책
    • 스프린트 단위별 주요 과제

작성원칙

  1. 나를 이해시켜야 한다.
  2. - 가장 먼저 내가 이해하거나 납득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설득할 수 없음
  3. 지시하는 문서가 아니라 인사이트를 주기 위한 문서이다.
  4. - 이렇게 해(x), 이렇게 가려고 하는데 의견 있는 분?(o)
  5. 추상적이 아닌 구체적인 목표를 담고 있어야 한다.
  6. - 요구사항은 추상적일 수 있다. 하지만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 기능정의 ]

목적

  1. 기획자 본인이 큰 기능에 대해 정리
  2. 실무자가 진행해야 할 프로젝트에 대해 큰 틀에서 파악
  3. 필요 기능에 대한 의견 수렴(언제든 바뀔 수 있음)
  4. 리스크에 대한 점검(리소스, 기술적 한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작성방향

  • Depth - 디자인단에서 많이 바뀌게 됨
  • 기능정의 - 가장 중요
  •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항목
    • 점검해야 할 것
    • 리스크
  • 우선순위(Moscow)
  • 비고

작성예시

뎁스(IA)기능 리스트데이터 타입기능 정의MosCow비고

 


[ IA ]

목적

  • 서비스의 구조와 동선을 설계하는 것
  • 공유주체에게 거시적 관점에서 이해시키기 위한 문서

Tip
작은 뎁스(3depth)의 기능들을 먼저 정리해 보고 상위 뎁스(2~1)로 가며 묶어보기


상위기획 작성 실습을 했는데 Why와 What의 연결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머리에 있는 내용을 펼쳐 놓은 거라 그 안의 짜임새가 부족했던 것 같다
 
그리고 보고나 실제 설득을 위한 문서가 아니다 보니 힘을 많이 뺀 것도 있고..ㅎ
 
지적받은 내용은 사프 하면서 조금씩 더 다듬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오늘 강의 덕분에 서비스의 중심인 상위 기획에 관해 더 고민해 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 인하우스 기획자는 이런식으로 작성하는구나..라는 것도 엿볼 수 있어 좋았군
 
가장 좋았던 건 오늘 강의 마치고 5명의 사람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는 점?ㅋㅋ
 
일방적으로 배우는 것도 필요하지만 비슷한 사람들끼리 인사이트를 나누는 것도 필요한 것 같다
 
성장을 위해 달려가는 옆 사람은 어떤 걸 하고 있는지 보는 게 꽤 도움이 된다랄까
 
이번 주말은 사프 할 일도 많이 했고 정말 알차게 보냈고만 ㅇㅅㅇ
 
힘내서 8월 첫 주도 맞이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