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서를 작성하며 내가 반응형과 적응형 디자인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인지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한 공부를 기록으로 남긴다.
정리
구분 | 반응형 | 적응형 |
정의 | 하나의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의 화면 크기에 맞게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배치 | 미리 정의된 여러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특정 디바이스에 맞는 레이아웃을 제공 |
![]() |
||
장점 | 1. 유지보수 효율성: 하나의 소스 코드를 수정하면 모든 기기에 적용됨 2. 일관된 사용자 경험: 모든 플랫폼에서 일관된 콘텐츠 경험 제공 3. 미래 대비: 새로운 화면 크기나 디바이스에서도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작동 |
1. 맞춤화된 경험: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자인 제공 2. 성능 최적화: 필요한 리소스만 로드하여 성능 향상 3. 디자인 자유도: 특정 디바이스에 맞게 디자인 가능 |
단점 | 1. 복잡한 코드: 다양한 기기 크기를 지원하기 위해 복잡한 CSS와 설계 필요 2. 성능 문제: 모든 CSS를 로드하므로 일부 기기에서 성능 저하 가능 3. 디자인 통제 어려움: 특정 기기에서 요소의 크기나 순서를 세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움 |
1. 높은 유지보수 비용: 여러 레이아웃을 관리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복잡하고 비용 증가 2. SEO 문제: 일관되지 않은 콘텐츠가 SEO에 부정적인 영향 가능 3. 새로운 디바이스 대응 어려움: 새로운 디바이스가 출시될 때마다 추가 작업 필요 |
예시 | 드롭박스(링크) | 아마존(링크) |
반응형과 적응형 구분하는 법
1. 브라우저 크기 조절: 브라우저 창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면 메뉴가 축소되어 햄버거 메뉴로 전환되고, 콘텐츠 배치가 세로로 변경됩니다.
2. 개발자 도구 사용: '디바이스 모드'로 전환하면 다양한 화면 크기에서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조정됩니다.
예시 - 아마존
예시 - 드롭박스
확실히 기획 시 반응형이 적응형보다는 수월할 것 같다.
가볍게 정리만 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공부 시간이 길어졌네..
다음엔 또 다른 기획 공부를 아카이빙 해보자 :D
'기획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강의_레브 인사이트] 상위기획과 요구사항정의_240728 (0) | 2024.07.28 |
---|---|
[회고] 무아지경으로 업무 치기(D+43)_240528(금) (2) | 2024.05.28 |
[기획공부_당근대장] 어드민 기획_240511(토) (4) | 2024.05.15 |
[기획 강의_파이온티어] IT 기획자를 위한 기본 개발지식_240510 (3) | 2024.05.10 |
[기획 강의_당근대장] AI 기획(설계) 이론&실습_240504(토) (4) | 2024.05.04 |